금융감독원과 손해보험협회가 자동차 고의사고를 공동으로 대응할 예정이다./그래픽=금감원 금융감독원과 손해보험협회가 자동차 고의사고 보험사기를 사전예방하기 위해 공동으로 대국민 집중 홍보를 실시한다. 자동차보험사기는 전체 보험사기 적발금액 49.6%를 차지하는 심각한 불법행위다. 이를 금감원과 손보협회가 공동으로 대응해 근절하겠다는 것이다. 금감원과 손보협회는 전체 보험사기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하는 자동차보험 사기를 근절하기 위한 대국민 집중 홍보 제2편을 14일 공개했다. 우선 이달 17일부터 올해 12월31일까지 주행 중 고의사고 다발지역에 진입할 경우 내비게이션에서 음성안내를 실시한다. 자동차 고의사고 혐의자들은 과실이 큰 상대차량을 대상으로 고의사고를 야기며 복잡한 교차로 등 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자동차 고의사고가 상대적으로 집중하고 있다.이에 전국 35개 지점의 자동차 고의사고 다발지역을 선정해 내비게이션 앱으로 운전자에게 고의사고 위험성 및 유의사항 등에 대해 음성안내를 실시할 예정이다. 금감원과 손보협회는 평소 타 지점대비 교통량이 많고 로터리 등 차선이 복잡한 지점으로 수도권 18개, 그외 광역자치단체 17개 등 총 35개 지점으로 선정했다. 지난달 28일부턴 고의사고 경각심을 제고하기 위해 TV광고도 실시했다. 가까운 친구, 가족 또는 SNS 게시글 등을 통한 자동차 고의사고 제안에 응할 경우 최대 10년 이하 징역형 또는 5000만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할 수 있는 중대범죄임을 안내하는 중이다. 또한 자동차 고의사고 의심사례를 접하는 경우 금융감독원 등 관계기관에 신고를 당부토록 하고 있다. 일반대중에게 홍보효과가 크고 친숙한 TV 방송(JTBC)과 출연진 섭외 등을 통해 급증하는 조직적 자동차 고의사고에 대한 경각심을 제고하도록 하겠다는 방침이다. 이 광고는 올해 8월21일까지 진행할 예정이다. 아울러 지난달 18일부턴 온오프라인을 통해 고의사고 예방 캠페인도 진행 중이다. 오프라인은 동인구가 많은 광화문 등의 초대형 전광판 광고, 서울지역 버스정류장 스크린 광고를 활용하는 중이다. 또한 이용자가 많은 서울지역의 법인택시(서울시택시운송사업조합)의 옆면광고를 통해 자동차 고의사고에 대한 경각심을 제고하고 있다. 온라인 경우 카카오 내비게이션, 카카오 택시 내부스크린 [서울=뉴시스] 조성우 기자 = 폭염이 계속되는 지난 10일 서울 종로구 거리에서 한 시민이 선풍기로 더위를 식히며 이동하고 있다. 2025.07.10. xconfind@newsis.com [서울=뉴시스] 백영미 기자 = 7월 초 기상 관측 117년 만에 가장 무더운 날씨가 이어지면서 ‘온열질환자’가 크게 늘고 있다. 전문가들은 두통, 어지럼증, 피로감은 단순한 더위가 아닌 몸이 보내오는 열사병 위험 신호일 수 있어 응급상황에 대한 대처법을 숙지하고 있는 것이 좋다. 14일 의료계에 따르면 온열질환은 몸을 과도하게 움직이거나 고온 다습한 환경에 장시간 노출되어 몸이 스스로 열을 식힐 수 없을 때 발생한다. 무더운 환경에서 일하는 산업 근로자 뿐만 아니라 노약자, 심뇌혈관·당뇨·신장질환 등 만성질환자, 고강도 운동을 하는 사람도 온열질환에 취약하다.질병관리청 통계를 보면 2011년부터 ‘온열질환 응급실 감시체계’를 가동한 이후 응급실을 방문한 누적 온열질환자 수가 가장 이른 시기에 1,000명(지난 10일 기준)에 도달했다. 일일 온열질환자는 2018년 8월 이후 처음으로 200명을 넘어섰다. 올해 5월 15일부터 7월 8일까지 총 1228명의 온열질환자가 발생했고, 이 중 사망자는 8명이었다.중심 체온이 40°C를 넘어가는 열사병은 절반 이상의 사망률을 보이는 초응급 질환인 만큼 빠른 인지와 초기 대응이 생명을 좌우한다. 열사병이 나타나기 직전 증상으로 두통, 어지러움, 구역질, 경련, 시력 장애 등이 있으며 의식이 저하되고 몸은 뜨겁고 건조하며 붉게 보인다. 열피로와 비슷한 증상을 보이나 오히려 피부는 뜨겁고 건조해 땀이 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호흡은 얕고 느리며 혈압이 떨어지기도 한다.이 밖에도 과도한 땀으로 수분이 부족해지면서 탈수 증상이 생기는 ‘열탈진’과 더위 속에서 종아리나 복부에 근육 경련이 오는 ‘열경련’이 있다. ‘열실신’은 열기로 인해 말초혈관이 확장되고 혈관 운동에 이상이 생기면서 일시적으로 의식을 잃는 것을 말한다. 이덕희 이대목동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는 “야외 근로자와 고령자뿐만 아니라 체온 조절이 원활하지 않은 만성질환자나 어린이들도 온열질환에 취약할 수 있다"면서 "수분 섭취, 그늘 휴식, 샤워 등의 예방수칙을 철저히 준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폭염 특보가 발효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