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후기

이용후기

기사의 내용과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작성일25-05-14 08:36 조회2회 댓글0건

본문

기사의 내용과 기사의 내용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사진. 서울대병원의 임종실./사진=서울대병원 제공 대다수 국민이 병원 내 처치실에서 사망하고 있는 가운데, 지난해 보건당국은 의료법 시행규칙을 개정해 300병상 이상 병원의 임종실 설치를 의무화했다. 그런데도 호스피스 병동의 임종실을 보유한 국립대병원이나 보훈병원들이 일반병동 임종실을 설치하지 않고 있다. 입원형 호스피스 등록 대상인 말기 암을 제외한 수많은 환자가 임종실을 이용할 수 없을 전망이다. ◇1400병상 중앙보훈병원도 ‘일반병동 임종실’ 없어임종실이란 사망에 임박한 환자가 가족 및 지인들과 함께 존엄한 죽음을 준비하고 심리적 안정 속에서 마지막 순간을 맞이할 수 있는 공간이다. 지속적인 치료에도 불구하고 회복하지 못해 의학적으로 임종 과정에 있다고 진단받은 환자가 이용할 수 있다. 법적으로 10제곱미터 이상의 면적을 확보해야 하며 한 명의 환자만 수용해야 한다. 우리나라 국민 4명 중 3명은 의료기관에서 죽음을 맞고 있다. 다인실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국내 의료 환경에서 환자가 삶의 마지막 순간을 가족과 함께 품위 있고 아름답게 마감하기에는 어려운 현실이다. 이에 보건복지부는 ‘의료법 시행규칙’ 개정을 통해 새롭게 개설되는 300병상 이상 종합병원과 요양병원이 한 개 이상의 임종실을 설치해야 한다는 규정을 마련했다. 해당 법안은 지난해 8월 시행됐고 이미 운영 중인 병원들은 1년간의 유예기간을 거쳐 올해 8월부터 임종실을 설치해야 한다. 그런데 헬스조선 취재 결과, 임종실 설치 의무가 있는 일부 국립대병원과 보훈병원이 임종실을 설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1400여개 병상을 보유해 웬만한 상급종합병원보다 규모가 큰 중앙보훈병원도 임종실을 설치하지 않았다. 정확하게는 기존 ‘호스피스 병동’의 임종실이 있기 때문에 ‘일반병동’에는 임종실을 추가로 설치하지 않은 것이다.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관계자는 “임종실 설치 위치는 의료기관이 자율적으로 정할 사항이라는 복지부 의견을 근거로 기존에 있는 호스피스 임종실을 활용하기로 결정했다”며 “중앙보훈병원에 이어 부산, 광주, 대구, 대전보훈병원 모두 마찬가지고 [서귀포=뉴시스] 반달가슴곰. 2024.01.05. woo1223@newsis.com [세종=뉴시스]성소의 기자 = 지리산 일대에 서식하는 반달가슴곰이 짝짓기철을 맞아 본격적으로 활동을 시작하면서 등산객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국립공원공단은 멸종위기 Ⅰ급 반달가슴곰의 본격적인 활동 시기를 맞아 탐방객 안전수칙 안내를 대폭 강화한다고 13일 밝혔다.공단에 따르면 반달가슴곰은 겨울잠에서 깨어난 봄(3~5월)보다 여름(6~8월)으로 접어들며 행동 반경이 약 5배 이상 넓어진다. 특히 5월 말부터 7월까지는 곰의 짝짓기 시기로 활동이 왕성해진다.이 시기 지리산국립공원을 찾는 탐방객은 법정 탐방로만 이용해야 하며 단독 산행보다는 2인 이상이 함께 산행하는 게 좋다. 가방걸이용 종이나 호루라기 같은 소리 나는 물품으로 자신의 존재를 알려야 곰이 먼저 피한다.공단은 출입이 금지된 샛길 입구 600여곳에 홍보 깃발과 무인안내기를 설치하고 가을철 성수기에는 탐방로 입구에서 종과 호루라기 등을 배포하는 캠페인도 전개할 계획이다. 하반기부터는 탐방안내소와 대피소 등에서 관련 물품을 판매하고 종주능선 10곳에 고정식 종도 시범 설치할 예정이다.산행 중 반달가슴곰을 실제로 마주칠 확률은 낮다. 지난 10년간 탐방로에서 곰을 직접 목격한 사례는 10건에 불과한데, 이는 같은 기간 지리산 탐방객(3207만명)의 320만분의 1 수준이다.곰을 마주친다 하더라도 곰이 먼저 자리를 피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만약 그렇지 않으면 등을 보이거나 시선을 피하지 말고, 뒷걸음질로 조용히 자리를 벗어나야 한다. 먹이를 주거나 사진 촬영을 위해 가까이 다가가는 행동은 삼가야 한다.공감언론 뉴시스 soy@newsis.com 기사의 내용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