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후기

이용후기

카톡892jms ^) 상조내구제 선지급

페이지 정보

작성자 sans339
작성일25-07-27 00:38 조회1회 댓글0건

본문

카톡892jms ^) 상조내구제 선지급 ■ 진행 : 윤재희 앵커■ 출연 : 이호령 한국국방연구원 안보전략센터 책임연구위원*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YTN24]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앵커]북한 문제와 한반도 외교 안보 뉴스를 심층 분석하는 <한반도 리뷰> 시간입니다. 한국국방연구원 안보전략센터 책임연구위원인 이호령 박사와 함께합니다. 어서 오십시오. 국가정보원이 그동안 운영해왔던 대북방송이 모두 중단됐습니다. 어떤 용도의 채널인지부터 설명을 해 주시죠.[이호령]일단 5개 라디오 방송과 TV 방송이 6개가 중단이 됐는데요. 라디오 같은 경우는 인민의 소리, 희망의메아리, 자유FM, TV 같은 경우 대북TV라고 있는데 73년부터 시작해서 지난 50년간 진행돼 왔었던 거죠. 보면 북한에게 밖의 소식을 알리는 데 주목적이 있었던 기능인데. 공교롭게도 지금 트럼프 행정부 2기에 와서 보이스 오브 아메리카라든지 RFA의 예산이 줄어들고 있어요. 그래서 대북방송과 관련돼서 외부의 정보가 북한에 유입되는 그런 시간이 하루에 451시간 정도가 되는데. 이게 지금 우리 국정원에서 이런 것 중단과 더불어 하루에 들어가는 시간이 89시간으로 굉장히 줄어든 거죠. 이전 대비 80%가 감소가 되고 있는데 목적과 관련돼서 생각을 해본다면 북한 같은 경우에 대남방송이 김정은 위원장이 2개의 적대적인 국가라고 하면서 대남 방송을 중단했거든요. 그런데 지금 국정원에서 발표한 방송 중단의 목적을 보면 북한과의 대화를 초점을 두고 방송을 중단한 거라고 볼 수 있어요. 그러면 북한이 대남 방송 중단한 목적과 우리가 대북 방송 중단한 목적과는 차이가 있다. 그리고 보면 대북방송을 우리가 중단을 하니 북한이 전파 방지와 관련돼서 10개가 줄어들었다고 하는데 사실상 북한 입장에서는 우리가 대북방송을 중단함으로 인해서 추가적으로 드는 비용이 많이 감소한 거죠. 결국에는 그런 것을 차단하는 데 많은 전력이 소모되는데 전력을 아낀 효과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이런 조치를 과연 상호주의 조치라고 볼 수 있겠느냐라는 의구심이 든다라고 볼 수가 있겠죠.[앵커]우리가 했던 방송이 북한 주민들을 대상으로 했던 방송이었잖아요. 이게 전면 중단하는 것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상당히 많은데 북한 주민들에게 그동안 영향을 상당히 미쳤기 때문에 이걸 중단하는 것이 과연 옳은 것이냐 이런 지적이에요.[이호령]그렇죠. 앞서 말씀드렸듯이 기본적으로 외부의 정보가 들어가는 것이 굉장히 북한 사회가 통제된 사회이지 않습니까? 그리고 김정은 집권이 7차 당대회, 8차 당대회,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