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승부처 8대 제조업-휴머노이드소프트웨어는 피지컬 AI가 핵심테슬라 엔비디아 구글 각축전하드웨어는 액추에이터기술 관건정밀동작 제어하는 로봇 관절스위서 일본 중국 등 경쟁력일본의 아시모, 한국의 휴보. 2000년대 초반 사람을 닮은 로봇이라는 뜻의 ‘휴머노이드’ 시장은 한국과 일본 2개의 강국이 주도했다. 하지만 당장이라도 우리 곁에 등장할 것 같았던 로봇 기술은 20여 년간 별다른 진척을 보이지 못했다.다시 주목받기 시작한 것은 2020년대 ‘범용 로봇’ 개념이 등장하면서다. 산업현장에서 쓰이던 로봇 팔이 정해진 작업만을 수행하도록 개발됐다면 범용 로봇은 스스로 할 일을 판단해 상황에 맞는 업무를 알아서 수행한다는 점이 특징이다.지난해 테슬라는 자사 휴머노이드 ‘옵티머스’가 부품함을 집어 선반에 올리는 영상을 공개했다. 단순한 작업 같지만 옵티머스는 카메라와 자체 인공지능(AI)을 바탕으로 부품함을 어느 강도로 집어야 하는지, 어느 동작을 취해야 지정 위치에 올릴 수 있는지를 계산했다.관련 시장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프리시던스리서치에 따르면 2023년 13억4000만달러 규모(약 1조8000억원)이던 로봇 시장은 2027년 25억4000만달러(약 3조4000억원), 2034년 77억5000만달러(약 10조 5000억원)로 성장할 전망이다.범용 로봇의 개념에 필수적인 요소는 ‘피지컬AI’다. 로봇이 해야 할 일과 그 일을 어떻게 수행할지를 스스로 판단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 피지컬AI의 핵심 기술이 LAM(Large Action Model·거대행동모델)이다.챗GPT가 텍스트를 인식하고 답하는 LLM(거대언어모델)이라면 이미지와 음성, 영상을 인식할 수 있는 단계가 LMM(Large Multimodal Model), 여기에 인간과 사물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기능을 추가한 단계가 LAM이다. LAM을 통해 로봇은 비로소 동작을 스스로 학습하고 이를 바탕으로 상황마다 적절한 동작을 수행한다.현재 LAM은 테슬라 옵티머스, 엔비디아 그루트(GR00T), 구글 제미나이 로보틱스 같은 거대 빅테크 사업 부서를 비롯해 ‘래빗’ ‘어뎁트AI’를 비롯한 각국 스타트업들이 뛰어든 분야다. 엔비디아는 지난해 3월 자사 개발자 행사인 ‘엔비디아 GTC’를 통해미래 승부처 8대 제조업-휴머노이드소프트웨어는 피지컬 AI가 핵심테슬라 엔비디아 구글 각축전하드웨어는 액추에이터기술 관건정밀동작 제어하는 로봇 관절스위서 일본 중국 등 경쟁력일본의 아시모, 한국의 휴보. 2000년대 초반 사람을 닮은 로봇이라는 뜻의 ‘휴머노이드’ 시장은 한국과 일본 2개의 강국이 주도했다. 하지만 당장이라도 우리 곁에 등장할 것 같았던 로봇 기술은 20여 년간 별다른 진척을 보이지 못했다.다시 주목받기 시작한 것은 2020년대 ‘범용 로봇’ 개념이 등장하면서다. 산업현장에서 쓰이던 로봇 팔이 정해진 작업만을 수행하도록 개발됐다면 범용 로봇은 스스로 할 일을 판단해 상황에 맞는 업무를 알아서 수행한다는 점이 특징이다.지난해 테슬라는 자사 휴머노이드 ‘옵티머스’가 부품함을 집어 선반에 올리는 영상을 공개했다. 단순한 작업 같지만 옵티머스는 카메라와 자체 인공지능(AI)을 바탕으로 부품함을 어느 강도로 집어야 하는지, 어느 동작을 취해야 지정 위치에 올릴 수 있는지를 계산했다.관련 시장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프리시던스리서치에 따르면 2023년 13억4000만달러 규모(약 1조8000억원)이던 로봇 시장은 2027년 25억4000만달러(약 3조4000억원), 2034년 77억5000만달러(약 10조 5000억원)로 성장할 전망이다.범용 로봇의 개념에 필수적인 요소는 ‘피지컬AI’다. 로봇이 해야 할 일과 그 일을 어떻게 수행할지를 스스로 판단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 피지컬AI의 핵심 기술이 LAM(Large Action Model·거대행동모델)이다.챗GPT가 텍스트를 인식하고 답하는 LLM(거대언어모델)이라면 이미지와 음성, 영상을 인식할 수 있는 단계가 LMM(Large Multimodal Model), 여기에 인간과 사물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기능을 추가한 단계가 LAM이다. LAM을 통해 로봇은 비로소 동작을 스스로 학습하고 이를 바탕으로 상황마다 적절한 동작을 수행한다.현재 LAM은 테슬라 옵티머스, 엔비디아 그루트(GR00T), 구글 제미나이 로보틱스 같은 거대 빅테크 사업 부서를 비롯해 ‘래빗’ ‘어뎁트AI’를 비롯한 각국 스타트업들이 뛰어든 분야다. 엔비디아는 지난해 3월 자사 개발자 행사인 ‘엔비디아 GTC’를 통해 ‘그루트 N1’을 공개했다. 당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그루트 LAM을 통해 바닥에 있는 상자 정리